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og tag
- API
- render
- 삽입정렬
- 스파르타코딩클럽 완주
- 팬명록
- State
- python
- 크롤링
- 선택정렬
- 함수컴포넌트
- habit tracker
- 버블정렬
- 배포
- 파이썬
- 리액트
- 클래스컴포넌트
- JavaScript
- pycharm
- React
- mongodb
- 기초문법
- nohup
- React Hook
- 부트스트랩
- 제이쿼리
- 를
- get방식
- 정렬 알고리즘
- 실시간데이터
- Today
- Total
Yeonn's 기록하며 성장하는 개발일지 :)
Promise 본문
Promise: 자바스크립트에서 제공하는 비동기를 처리 할 수 있게 도와주는 object, Class
state: pending(보류) --> fulfilled(성공) or rejected(거절)
Producer vs Consumer
Promise가 만들어진 순간,
executor이라는 함수가 바로 자동적으로 실행되기때문에 주의 할 것
let promise = new Promise ( function(resolve, reject) {
//executor (제작코드)
});
- executor의 인수 resolve, reject ; 자바스크립트에서 제공하는 콜백
- executor는 자동으로 실행이되는데,
처리가 끝나면 처리성공여부에 따라 resolve, reject를 호출
- resolve나 reject 중 하나는 반드시 호출 할 것
promise라는 Producer _제작코드 생성
Consumers는 then, catch(후속 처리 메서드), finally를 통해 값을 받아올 수 있음 _소비코드
.then: Promise가 정상적으로 잘 수행이 되어서
마지막에 최종적으로 resolve (callback함수) 를 통해 전달한 값이 then의 파라미터로 전달.
+ then은 값을 전달해도 되지만, 또 다른 Promise를 전달해 줄 수도 있다. (promise chaining)
then 성공한 값, catch 실패한 에러를 받아와서 원하는 방식으로 각자 처리를 해준다.
.finally의 경우, 성공 실패와 상관없이 마지막에 호출되어짐 (인자X)
'개발의 모든것 > Javascript'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생성자함수 (0) | 2022.03.11 |
---|---|
[HTTP상태코드 정리] (0) | 2022.02.27 |
[API호출] Fetch( ) (0) | 2022.02.27 |
브라우저 동작원리 (0) | 2022.01.16 |
자바스크립트 개념과 특징 (0) | 2022.01.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