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Tags
- State
- 제이쿼리
- React
- render
- 크롤링
- pycharm
- 부트스트랩
- React Hook
- python
- mongodb
- 버블정렬
- 기초문법
- JavaScript
- 실시간데이터
- 정렬 알고리즘
- nohup
- get방식
- 함수컴포넌트
- 클래스컴포넌트
- 팬명록
- og tag
- 스파르타코딩클럽 완주
- habit tracker
- 삽입정렬
- 파이썬
- 선택정렬
- 리액트
- API
- 를
- 배포
Archives
- Today
- Total
Yeonn's 기록하며 성장하는 개발일지 :)
switch > break문 본문
switch문은 주어진 표현식을 평가하여 그 값과 일치하는 표현식을 갖는 case문으로 실행흐름을 옮긴다.
case문은 상황을 의미하는 표현식을 지정하고 콜론으로 마친다.
switch문의 표현식과 일치하는 case문이 없다면 default문으로 이동한다.
if else문은 불리언 값으로 평가되지만,
switch문은 불리언값보다는 문자열이나 숫자 값인 경우가 많다.
int day = 3;
String dayName;
switch (day) {
case 1:
dayName = "Monday";
break;
case 2:
dayName = "Tuesday";
break;
case 3:
dayName = "Wednesday";
break;
case 4:
dayName = "Thursday";
break;
case 5:
dayName = "Friday";
break;
case 6:
dayName = "Saturday";
break;
case 7:
dayName = "Sunday";
break;
default:
dayName = "Invalid day";
break;
}
System.out.println(dayName); // Output: "Wednesday"
break문을 쓰지않으면
int day = 3;
String dayName;
switch (day) {
case 1:
dayName = "Monday";
case 2:
dayName = "Tuesday";
case 3:
dayName = "Wednesday";
case 4:
dayName = "Thursday";
case 5:
dayName = "Friday";
break;
case 6:
dayName = "Saturday";
break;
case 7:
dayName = "Sunday";
break;
default:
dayName = "Invalid day";
break;
}
System.out.println(dayName); // Output: "Friday"
case3이지만, break가 없기때문에 계속 실행이되어서
Friday에서 멈추게된다.
'개발의 모든것 > Javascript'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급객체, 함수 (0) | 2022.03.14 |
---|---|
객체 (0) | 2022.03.14 |
Array Method (0) | 2022.03.12 |
String Method (0) | 2022.03.11 |
Math Method (0) | 2022.03.11 |